PCB 설계

PCB 설계 기능별 Block화된 Module화 배치 PCB Artwork (미래캐드)

미래캐드 2012. 12. 19. 15:59

 

실험하기에 용이한 기능별 Block화된 Module화 배치도

A/S 및 관리 하기에 용이한 기능별 Block화된 Module화 배치도

기능별 Block화된 Module화 배치도 (SUB)

 

 

기능별 Block화된 Module화 배치도(Main)

 

 

 

기능별 Block화된 Module화 배치도 (SUB)

 

배치의 중요성(PCB Artwork)

 

배치와 추적시간

- 회로는 완성되었으나 System의 구성이 너무 조밀하고 방대하여 Error추적 및 분석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1) 미세 부품 및 부품의 소형화로 Board내 부품 추적에 시간소비.

2) 부품 배치에 기능별 미배치로 부품추적에 시간소비.

3) 부품의 Top면Bottom면 배치로 인한 부품 추적에 혼선.

4) 부품의 고밀도 배치로 부품명 기입 불가로 추적에 어려움.

5) BGA및 Build up 설계로 인한 추적에 어려움.

6) Module의 하단 배치로 부품 Check의 어려움 등

7) 이외에도 부품들의 혼선의 배치까지 감안하면

8) 이후 Board에 배치된 전체적인 부품의 위치 파악에도

시간소비가 많으리라 봅니다.

 

배치시 물리적인 공간 미 감안된 배치는

Routing작업시 도미노 현상 유발

 

이처럼 배치는 바로 이어 작업할 Routing 작업에도 직접적인 영양을 줍니다.

1) Trace의 Routing작업은 수많은 Net가 좁은 공간에 얽히면서,

2) Trace와 Via의증가는 가속화되고,

3) Via 및 Trace가 증가하면 좁은 공간의 물리적인 면적소비로 이어져,

4) 더욱 Trace의 Routing 길이는 길어지고,

5) 길어진 Trace는 더이상 Routing할 공간이 없어

6) 전자적인 각종 기술를 적용하고 싶어도 더이상 적용할수 없는 상황으로 전개되고

6) Board 내 침범해서는 안될 모든 공간까지 Routing 하게되어,

7) 다른 기능에 Noise의 발생을 유발시키고 PCB 제조시 불량요인의 증가로 이어집니다.

-지금까지의 Noise의 원인은 배치에 따른

1) Trace 의 길이와 Via의 증가에 국한한 Board내 Noise의 영향만을 기술하였으나

2) 각 개개의 Trace의 주파수 , L, R, C성분, 전압 ,전류, 임피던스 ...등까지

감안한다면 실로 배치의 중요성은 크다고 봅니다.

~이후=> 배치에 제한 사항 및 기능별 Block화된 Module화 방법등을

기술하고자 합니다.~